외국학자 썸네일형 리스트형 메인스트림, 프레데릭 마르텔 메인스트림, 프레데릭 마르텔 지음 - 모두를 즐겁게 하는 그 문화에 대한 탐문 - '문명의 충돌, 새뮤얼 헌팅턴'의 주제는, 이제 각 문명은 자신의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가치와 정체성, 문화를 확인하기 위해 상호 대립한다는 것이다. 9.11은 문화의 세계대전이라는 명제를 한순간에 예언적으로 보이게 만들어 헌팅턴의 명성을 떨치게 하였다. -> 그러나 문화의 세계화란 무엇인가, 엔터테인먼트(여가와 오락)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 메인스트림의 주제이다. - '조지프 나이'는 하드파워만이 아니라 소프트 파워, 즉 문화를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미국식 모델의 세계 지배가 강해지도 있다고 했다. -> 그러나 대중적인 모델이 어째서 미국적인 것인가? 역모델이 나타나고 있는가? 세계화의 이데올로기가 된 문.. 더보기 네덜란드 한국학의 역사, 현황 그리고 전망, 바이데베인 발라번(Boudewijn Walraven)/ 레이덴대학교 한국학백서 중에서 요약정리 ※ 네덜란드 한국학의 역사, 현황 그리고 전망, 바이데베인 발라번(Boudewijn Walraven)/ 레이덴대학교 1. 필자 Boudewijn Walraven 바우더베인 발라번 (본 고는 2003년에 작성: 한국-네덜란드 교류 350주년) 2003년 보관문화훈장 수상, 한국 종교, 기독교 관련 논문 기술 : - a study of Buddhism in the late Choson period focussed on Buddhist poetry in the kasa form from that period - a study of concepts of identity and Koreannness in oral and written literature of the late Choson.. 더보기 호주의 한국학, 신기현 /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케네스 웰즈 / 호주국립대학교 한국학백서 중에서 호주의 한국학, 신기현 /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케네스 웰즈 / 호주국립대학교 호주는 전체인구 2000만명의 인구에 총 7개 대학에 한국학이 설치되어 있어 북미와 비교할 때 상당한 성과를 이룬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인구 수 비례로 볼 때도 등록 학부생 수가 6500명인 호주국립대학교에 1학년의 한국어 반 학생 수가 약 20명으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호주 대학 행정 당국자들은 한국학에서 한국어가 포괄하는 범위를 이해하지 못하고 한국어를 ‘수강생이 적은 언어’로 분류한다. 따라서 한국학 프로그램을 안정화 시키는데 재정적 지원 부족의 문제를 겪게 된다. 1982년 이 출간된 후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언어에 관심을 보이게 되는 동안 재원의 부족으로 인문학의 홀대를 겪는 문제.. 더보기 독일의 한국학, 베르너 자세(Werner Sasse)/ 함부르크대학교 한국학백서 중에서 요약 ※ 독일의 한국학, 베르너 자세(Werner Sasse)/ 함부르크대학교 1. 필자 베르너 자세(Werner Sasse)는 1941년 독일 프랑크프르트에서 태어났으며 한국과 인연을 맺은 것은 지난 1966년이다. 나주에 호남 최초의 비료공장 설립자가 그의 장인인 호만 씨였다. 호만 씨는 공장에 근무할 기술자를 육성하기 위해 나주기술학교를 세웠고, 그는 그곳에서 교사로 일하면서 한국과 연을 맺었다. 2년 뒤 독일로 돌아가 보훔 대학교에서 한국학을 공부한 사세는 1975년 ‘계림유사에 나타난 고려방언’으로 한국학 박사를 받고 대학교수가 되었고 독일에서 처음으로 1992년엔 함부르크 대학교 한국학과를 개설했다. 정년퇴직한 후 2006년부터 한국에 정착해 2007년 전남대학교의 초빙교수를.. 더보기 한국사 연구와 동아시아적 관점 동아시아세계 속의 한국학 한국사 연구와 동아시아적 관점, 미야지마 히로시 ** 지역연구(동아시아연구) 비판으로서의 동아시아학 - 지역학 : 미국의 세계전략적인 관점에서 비구미지역의 현실을 분석해 유효한 정책을 입안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으려고 만들어진 것. 역사학부, 철학과, 문학과 등과는 별개로 아시아, 아프리카학부, 동양학부 등의 명칭이 존재하는 것은 비구미 지역은 구미지역의 연구와 같은 보편성을 갖지 못한다는 시각. - 동아시아학 : 내재적 관점에서 유럽의 학문분류를 다시 보려고 하는 것이 기본적 목적. ** 동아시아 연구에서의 유럽 중심주의 - 시대구분의 문제 : 한중일 교과서 내의 고대, 중세, 근세, 근현대와 같이 유럽식 구분으로 시대 경계의 차이 모호함. 또 동아시아 전체의 시대구분이라는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