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인문학으로서의 한국학
통합인문학으로서의 한국학, 박희병 ☞ 한국학 연구의 대체적 경과 및 무엇이 문제인가 - 일제 강점기 學者群 구분 장점 단점 경성제국대학, 일본의 대학에서 수학한 근대학문 방법론의 세례를 받은 학자군 실증성, 논리적 엄격성, 학문적 체계성 분과과학을 강조한 결과 학문 간 소통 부재 한국의 전통적 학문방법론, 실학계열의 학문의식을 계승,발전시킨 학자군 문학,역사,사상,언어,민속,문화를 서로 연관시켜 이해하려는 태도 논리적 엄격성과 체계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짐 - 해방 이후 4.19까지 학문 분과 간의 폐쇄성 강화 ‣ 한국학 : 분과학문으로서의 한국학 강화 - 4.19 혁명 이후 1987년까지 저항적 민족주의, 主體에 대한 모색 심화 ‣ 한국학 : 한국학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했으나 분과과학적 모델에 대한 회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