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규 썸네일형 리스트형 21세기 한국학의 시공간성과 동아시아 21세기 한국학의 시공간성과 동아시아, 박명규 1. 문제제기 : 한국학의 정체성 논란과 긴장을 지식의 시공간성이라는 차원에서 검토하고 극복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함. 필자의 주장 세 가지. ① 한국학의 학문영역 안에는 시공간적 범주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는 여러 흐름들이 공존하고 있었다. ② 90년대 이후 이 상이한 시공간성의 공존구조가 깨지면서 이론적, 방법론적 긴장이 확대되었고, 현재의 한국학 내부의 긴장은 상당부분 이와 관련된다. ③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재구성된 시공간성이 이러한 갈등을 극복하는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2. 한국학의 시공간성 ⁕ 공간성 - 김경일(장소와 한국학의 학문적 지향의 연관) : ① 한반도, ② 한반도 주변 국가(일본, 중국, 러시아), ③ 미국 - 부르디외(지식장) : 지식..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