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아시아

한국사 연구와 동아시아적 관점 동아시아세계 속의 한국학 한국사 연구와 동아시아적 관점, 미야지마 히로시 ** 지역연구(동아시아연구) 비판으로서의 동아시아학 - 지역학 : 미국의 세계전략적인 관점에서 비구미지역의 현실을 분석해 유효한 정책을 입안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으려고 만들어진 것. 역사학부, 철학과, 문학과 등과는 별개로 아시아, 아프리카학부, 동양학부 등의 명칭이 존재하는 것은 비구미 지역은 구미지역의 연구와 같은 보편성을 갖지 못한다는 시각. - 동아시아학 : 내재적 관점에서 유럽의 학문분류를 다시 보려고 하는 것이 기본적 목적. ** 동아시아 연구에서의 유럽 중심주의 - 시대구분의 문제 : 한중일 교과서 내의 고대, 중세, 근세, 근현대와 같이 유럽식 구분으로 시대 경계의 차이 모호함. 또 동아시아 전체의 시대구분이라는 .. 더보기
21세기 한국학의 시공간성과 동아시아 21세기 한국학의 시공간성과 동아시아, 박명규 1. 문제제기 : 한국학의 정체성 논란과 긴장을 지식의 시공간성이라는 차원에서 검토하고 극복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함. 필자의 주장 세 가지. ① 한국학의 학문영역 안에는 시공간적 범주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는 여러 흐름들이 공존하고 있었다. ② 90년대 이후 이 상이한 시공간성의 공존구조가 깨지면서 이론적, 방법론적 긴장이 확대되었고, 현재의 한국학 내부의 긴장은 상당부분 이와 관련된다. ③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재구성된 시공간성이 이러한 갈등을 극복하는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2. 한국학의 시공간성 ⁕ 공간성 - 김경일(장소와 한국학의 학문적 지향의 연관) : ① 한반도, ② 한반도 주변 국가(일본, 중국, 러시아), ③ 미국 - 부르디외(지식장) : 지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