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의 세계화지수 순위 현재 Ernst Young, AT Kearney & Foreign Policy, KOF Swiss Economic Institute 등의 기관이 매년 국가의 세계화 수준을 다양한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발표합니다. 한국 세계화의 상대적 위치와 우리나라가 개선해야 할 분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입니다. http://www.ey.com/Publication/vwLUAssets/Winning_in_a_polycentric_world_-_Globalization_and_the_changing_world_of_business/$FILE/EY_-_Winning_in_a_polycentric_world_-_Globalization_and_the_changing_world_of_business.pdf ht.. 더보기 메인스트림, 프레데릭 마르텔 메인스트림, 프레데릭 마르텔 지음 - 모두를 즐겁게 하는 그 문화에 대한 탐문 - '문명의 충돌, 새뮤얼 헌팅턴'의 주제는, 이제 각 문명은 자신의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가치와 정체성, 문화를 확인하기 위해 상호 대립한다는 것이다. 9.11은 문화의 세계대전이라는 명제를 한순간에 예언적으로 보이게 만들어 헌팅턴의 명성을 떨치게 하였다. -> 그러나 문화의 세계화란 무엇인가, 엔터테인먼트(여가와 오락)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 메인스트림의 주제이다. - '조지프 나이'는 하드파워만이 아니라 소프트 파워, 즉 문화를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미국식 모델의 세계 지배가 강해지도 있다고 했다. -> 그러나 대중적인 모델이 어째서 미국적인 것인가? 역모델이 나타나고 있는가? 세계화의 이데올로기가 된 문.. 더보기 네덜란드 한국학의 역사, 현황 그리고 전망, 바이데베인 발라번(Boudewijn Walraven)/ 레이덴대학교 한국학백서 중에서 요약정리 ※ 네덜란드 한국학의 역사, 현황 그리고 전망, 바이데베인 발라번(Boudewijn Walraven)/ 레이덴대학교 1. 필자 Boudewijn Walraven 바우더베인 발라번 (본 고는 2003년에 작성: 한국-네덜란드 교류 350주년) 2003년 보관문화훈장 수상, 한국 종교, 기독교 관련 논문 기술 : - a study of Buddhism in the late Choson period focussed on Buddhist poetry in the kasa form from that period - a study of concepts of identity and Koreannness in oral and written literature of the late Choson.. 더보기 호주의 한국학, 신기현 /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케네스 웰즈 / 호주국립대학교 한국학백서 중에서 호주의 한국학, 신기현 /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케네스 웰즈 / 호주국립대학교 호주는 전체인구 2000만명의 인구에 총 7개 대학에 한국학이 설치되어 있어 북미와 비교할 때 상당한 성과를 이룬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인구 수 비례로 볼 때도 등록 학부생 수가 6500명인 호주국립대학교에 1학년의 한국어 반 학생 수가 약 20명으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호주 대학 행정 당국자들은 한국학에서 한국어가 포괄하는 범위를 이해하지 못하고 한국어를 ‘수강생이 적은 언어’로 분류한다. 따라서 한국학 프로그램을 안정화 시키는데 재정적 지원 부족의 문제를 겪게 된다. 1982년 이 출간된 후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언어에 관심을 보이게 되는 동안 재원의 부족으로 인문학의 홀대를 겪는 문제.. 더보기 인도의 한국학 발전, 김도영 / 델리대학교 한국학백서 중에서 요약 인도의 한국학 발전, 김도영 / 델리대학교 한국어 프로그램은 자와할랄네루 외국어대학의 아프리카 및 아시아 언어 프로그램으로 출발해서 1980년대 초 학위 전 예비과정의 문제점으로 인해 자격증 과정으로 격하되었다. 1989년에 디플로마 과정으로 발전되었다가 1995년 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 교수진 초빙과 기부금을 받고나서 대학에 학위(B.A.) 프로그램으로 개설된다. 1998년 7월 석사학위(M.A.)의 일부로 확대되어 2000년 인도내 한국학 역사상 최초로 졸업생 9명을 배출하게 된다. 한국어 학사 및 석사 과정은 5년 10학기의 통합과정으로 이 과정의 말기에는 학생들이 한국어가 유창하고, 한자에 숙달되며, 번역도 가능하다. 또 한국의 역사, 문화, 현대 사회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상.. 더보기 독일의 한국학, 베르너 자세(Werner Sasse)/ 함부르크대학교 한국학백서 중에서 요약 ※ 독일의 한국학, 베르너 자세(Werner Sasse)/ 함부르크대학교 1. 필자 베르너 자세(Werner Sasse)는 1941년 독일 프랑크프르트에서 태어났으며 한국과 인연을 맺은 것은 지난 1966년이다. 나주에 호남 최초의 비료공장 설립자가 그의 장인인 호만 씨였다. 호만 씨는 공장에 근무할 기술자를 육성하기 위해 나주기술학교를 세웠고, 그는 그곳에서 교사로 일하면서 한국과 연을 맺었다. 2년 뒤 독일로 돌아가 보훔 대학교에서 한국학을 공부한 사세는 1975년 ‘계림유사에 나타난 고려방언’으로 한국학 박사를 받고 대학교수가 되었고 독일에서 처음으로 1992년엔 함부르크 대학교 한국학과를 개설했다. 정년퇴직한 후 2006년부터 한국에 정착해 2007년 전남대학교의 초빙교수를.. 더보기 한국사 연구와 동아시아적 관점 동아시아세계 속의 한국학 한국사 연구와 동아시아적 관점, 미야지마 히로시 ** 지역연구(동아시아연구) 비판으로서의 동아시아학 - 지역학 : 미국의 세계전략적인 관점에서 비구미지역의 현실을 분석해 유효한 정책을 입안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으려고 만들어진 것. 역사학부, 철학과, 문학과 등과는 별개로 아시아, 아프리카학부, 동양학부 등의 명칭이 존재하는 것은 비구미 지역은 구미지역의 연구와 같은 보편성을 갖지 못한다는 시각. - 동아시아학 : 내재적 관점에서 유럽의 학문분류를 다시 보려고 하는 것이 기본적 목적. ** 동아시아 연구에서의 유럽 중심주의 - 시대구분의 문제 : 한중일 교과서 내의 고대, 중세, 근세, 근현대와 같이 유럽식 구분으로 시대 경계의 차이 모호함. 또 동아시아 전체의 시대구분이라는 .. 더보기 블로그의 글에 관하여 방문해 주신 분들께.. 한국학과의 수업을 들으며 간단히, 혹은 진지하게 적은 글들과 과제들을 올리고 있습니다. 저는 한국 사람으로서 알고 싶은 정보들을 나름 손쉽게 배울 수 있는 장소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저 미천한 글들이지만 지우거나 놔두기 아까워 공유하고 싶은 마음에 올렸는데, 각자 저자가 있는 논문이나 글들의 요약이 대부분이므로 꼭 출처를 밝혀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글을 올리는 데 고심이 되는 마음에 공지해 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서빈올림 더보기 21세기 한국학의 시공간성과 동아시아 21세기 한국학의 시공간성과 동아시아, 박명규 1. 문제제기 : 한국학의 정체성 논란과 긴장을 지식의 시공간성이라는 차원에서 검토하고 극복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함. 필자의 주장 세 가지. ① 한국학의 학문영역 안에는 시공간적 범주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는 여러 흐름들이 공존하고 있었다. ② 90년대 이후 이 상이한 시공간성의 공존구조가 깨지면서 이론적, 방법론적 긴장이 확대되었고, 현재의 한국학 내부의 긴장은 상당부분 이와 관련된다. ③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재구성된 시공간성이 이러한 갈등을 극복하는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2. 한국학의 시공간성 ⁕ 공간성 - 김경일(장소와 한국학의 학문적 지향의 연관) : ① 한반도, ② 한반도 주변 국가(일본, 중국, 러시아), ③ 미국 - 부르디외(지식장) : 지식.. 더보기 뉴질랜드의 한국학: 현황과 향후 전망, 송창주 / 오클랜드대학교 한국학백서 중에서 요약 뉴질랜드의 한국학: 현황과 향후 전망, 송창주 / 오클랜드대학교 한국 전쟁의 특별한 인연 이후 1987년 뉴질랜드의 이민 정책 변화와 주요 무역국 순위의 영향으로 한국어와 한국학의 성장이 꾸준히 이뤄졌다. 1990년대 이후 하락한 한국어 수강생의 수는 인종적 구성이 중국인으로 바뀌며 다소 학생 수가 증가하였다. 앞으로 한국과 뉴질랜드의 교역증대, 서로 오가는 한국인 이민자와 유학생의 증가, 한국의 지속적 영어 학습 열풍, 한류 열풍 등은 한국학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뉴질랜드에는 오클랜드대학교에서 한국학 전공 학사, 석사 학위를 유일하게 운영하고 있다. 강좌와 관련해서 한국학이 비교적 작은 분야임에도 교과 과정이 강사 전공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교수진이 제한되어 있기 .. 더보기 이전 1 2 다음